오늘은 경제용어 단리 복리 계산 및 개념에 대해 상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단리/복리
단리(simple interest)는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율과 기간을 곱하여 이자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만기 2년, 연 3%에 단리로 정기예금을 하는 경우 2년후 원리금은 1억6백만원[1억원(1+3%x2)]입니다. 이때 실효수익률은 연 3%(6%/2) 로 표면금리와 동일합니다.
반면 복리(compound interest)는 일정 기간마다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합산한 후 그 합산금액에 대한 이자를 다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만기 2년, 연 3%에 6개월 복리(6개월마다 이자를 원금에 가산)로 정기예금을 하는 경우
2년후 원리금은 106.14백만원[100백만원(1+3%/2)4]입니다.
이 경우 실효수익률은 연 3.07%(6.14%/2)이다. 위 예에서는 복리로 예금했을 때 단리보다 14만원의 이자를 더
받게 됩니다. 복리효과는 간단히 말해 이자가 이자를 낳는 원리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추가되는 이자부분이 커지면서 전체 저축 원리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저축기간이 짧으면 복리효과가 크지 않은 반면 저축기간이 길면 길수록 약간의 금리 차이(복리가 단리보다 높으므로)에도 이자금액이 크게 벌어지게 됩니다. 복리에서는 72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자가 복리로 붙을 경우 원리금이 커지기 때문에 원리금이 두 배(100%)로 불어나는데 필요한 저축기간과 수익률의 곱이 100%가 아니라 72%만 되면 되는것입니다.
위 예에서 보면 1억원을 2억원으로 불리는데 걸리는 기간은 단리의 경우 약 33년(100백만원/3백만원)이 소요되는 반면 복리의 경우 24년(72%/3%) 이 소요되어 1억원을 2억원으로 불리는데 걸리는 기간이 복리가 단리보다 9년이나
짧다. 우리가 꾸준한 저축을 강조하는 이유는 저축의 경제적 성과 뒤에는 복리효과가 숨어있기 때문입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재 보완재 뜻 자세히 (0) | 2021.01.28 |
---|---|
단위노동비용 계산 및 노동생산성/노동생산성지수 뜻 (0) | 2021.01.27 |
녹색 GDP 녹색기후기금 GCF 뜻 자세히 (0) | 2021.01.25 |
경제금융용어 내부자금 외부자금 뜻 자세히 (0) | 2021.01.22 |
경제용어에서 낙인효과의 뜻 자세히 (0) | 2021.01.21 |